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 오늘은 Costmap에서 사용하는 parameter들에 대해서알아보았다. [오늘의 수강 영상] [오늘의 실습] Costmap에서 사용하는 parameter에는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고 global_costmap과 local_costmap으로나뉘어 있다. 1. update_frequency update_frequency란?Costmap을 업데이트하는 빈도(Hz)이다. global_costmap에서 쓰일 경우에실시간 반응이 중요할 경우에는 높은 값으로 설정해서 사용하지만대부분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1.0Hz 정도로 낮게 설정한다. local_costmap에서 쓰일 경우에는실시간 반응성이 좋아야하기 때문에 주로 5.0Hz 정도로높게 값을 설정하지..